배경 모델러 -취업 준비 01-
오늘은 간단하게 취업정보를 얻으면서 정리한 내용을 적어보려 한다.
평소 여러 맵작업을 하던 나로는 내가 하고싶던 직군이 '배경 모델러' 라는걸 처음알았다.
취미영역을 일의 영역까지 확장 시키는만큼 시야와 지식도 넓어지는 기분이다.
바로 정리내용을 들어간다.
게임 산업에서 배경모델러는 게임 내의 장면과 환경을 구축하고 디테일을 부여하여 게임의 시각적인 재미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델링분야는 크게 캐릭터모델링과 배경 모델링 분야로 나뉘는데 결론적으론 배경 모델러에대한 공급이 적기도하고 수요가 있기에 상대적으로 취업이 잘되는 편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배경 모델러는 모델링 뿐만이 아닌 게임엔진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대학 졸업 후 게임 산업에 진입하고자 한다면, 3D 모델링 및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에 대한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대표적인 소프트웨어로는 Autodesk Maya, 3ds Max, ZBrush, Substance Painter 등이 있고. 또한, 그래픽 디자인, 조명, 색채 이론, 렌더링 기술 등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모델링은 크게 분야에따라 게임쪽은 주로 맥스를 다루고 영상쪽은 마야를 다룬다고 한다. 그외에 블렌더라는 툴이 많이 있지만 추가적으로 익히면 좋은 수준에 있다. 나로써는 블렌더에 익숙해져있던걸 맥스를 꾸준히 익혀서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는 의미가 된다. 같은 게임 모델쪽을 바라는 사람들은 참고하면 좋을것이다.
취업을 위해선 포트폴리오가 매우 중요하기에. 대형 게임 회사나 스튜디오에 취업하고자 한다면, 관련 경험이나 프로젝트를 포트폴리오에 담아야 한다. 또한, 온라인 커뮤니티나 포트폴리오 사이트에 작품을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유명한 3대 모델링 학원이나 자본이 넉넉하다면 과외를 받아도 좋을것이다.
포폴을 갖추고나서 취업을 위한 적절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구직 활동을 시작하거나 포트폴리오를 제출할 수 있는 게임회사나 스튜디오에 이력서를 제출하는 것을 고려하는 순서로 대부분 준비를 한다 1년반에서 2년정도를 생각하면 편하다. 게임 산업은 열정과 역량을 중시하기 때문에 관련 경험이나 능력을 잘 어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망에 대해서 살짝살피면 최근들어 생성형ai가 그림도 그리고 오브젝트도 만들고 하는 마당이다. 불안정 하지 않느냐 하는 걱정이 있다. 초보모델러를 받아들여서 능력있는 모델러로 키우는것과 ai를 통해 이미 능숙한 모델러가 다듬는 측면을 보면 후자가 아무래도 효율성이 크기때문이다. 떄문에 단순히 모델러로 남는것이 아니라 ai자동화 툴이 나옴에 따라 그 사용법을 익히는 능력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게임 산업 및 기술의 동향을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어떤 모델링이 트렌드인지 이해하고 대비할것이 필요하다. 너무 앞선걸 수도 있지만 모델러와 ai의 협업을 미리 준비해도 좋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