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간단한 C언어 공부이다
상식적 내용과 필수적내용의 혼합이다.
배열과 문자열의 처리를 다루어 본다.
<배열이란 무엇일까?>
배열이 등장한 배경부터 보자.
자료형으로 문자를 사용하고자 할때 담는 그릇이
'문자' 인 char 하나이기 때문에
문자들을 담는 문자열을 담을 필요가 있게 되었고 이것이
배열을 배우게되는 배경이 된다.
다음과 같게 정리 가능하다
자료형
1.숫자형 1-1 정수형(int) 1-2실수형(float)
2.문자형 2-1 문자(char) 2-2 ??? 요것이 바로 배열이 필요하게 된 이유이다.
여기에 컴퓨터의 이점인 반복을 위해서
나온것이 배열이다
따라서 배열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배열 (array)
1. string(문자열)
2. 반복을 사용하기 위해
여기에 컴퓨터의 이점인 반복을 위해서
나온것이 배열이다
따라서 배열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배열 (array)
1. string(문자열)
2. 반복을 사용하기 위해
배열으로 여러개의 값을 하나의 그릇 즉 이름으로 처리할 수 있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자료형 변수이름[넣을 자료형갯수] ;
int s [10] ;
정수형 s에 10개의 데이터를 넣겠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C에서 문자열을 처리하는 방법>
문자열은 앞서 배운 배열을 사용하며
문자열을 표현하는법은 쌍따옴표를 사용한다.
" " 를 사용함
문자열의 마지막은 항상 널값을 준다. 널을 주는방법은 \0 을 사용한다.
따라서 문자열은 5개를 적겠다고 선언을 하려면 6개를 선언해주어야 5개를
적을수 있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오류가 나타난다.
선언 방식은 다음과 같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문자 자료형(=string) 변수이름 [개수] ;
char str [4] ;
str[3]=\0; 으로 반드시 처리해준다.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물론 어느정도 자동으로 처리되는 부분이 있지만 위의 내용을 알아둬야
오류가 났을때 해결하기 쉽다.
이번 포스팅의 간단 코드 문제이다.
<주사위를 100번 던져서 나온 숫자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srand를 사용하기 위해 다른 라이브러리를 가져와야 하지만 이건 나중에 다룬다).
#define size 6
int main()
{
int dice[size] = { 0 };
int i;
srand(time(NULL));
for (i = 0; i < 100; i++)
{
++dice[rand() % 6];
}
printf("------------ \n");
printf("면 빈도 \n");
printf("------------ \n");
for (i=0;i<size;i++)
{
printf("%3d 면 %3d \n", i+1,dice[i]);
}
return 0;
}
랜덤은 srand를 이용하고
배열에는 주사위의 빈도를 표시하여 진행함.
'관 > 솔직한 c 언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포인터변수란? (2020ver). (4) | 2020.07.31 |
---|---|
C언어 라이브러리와 변수를 알아보자 (2020ver). (0) | 2020.07.30 |
C언어 간단공부(2020ver). (2) | 2020.07.28 |
c언어 기초 공부 11.(총 복습) (3) | 2019.12.16 |
c언어 기초 공부 10.(배열2) (0) | 2019.12.16 |
댓글